사상 | 영향 |
신선사상 |
석가산, 십장생 |
음양오행사상 |
방지원도 |
풍수지리사상 |
대부분의 배치, 방위, 후원식탄생, 배산임수 |
유교사상 |
공간적 분리 |
불교사상 | 호화 |
은일사상 | 별서정원 |
[오행의 방위, 색]
오행 |
목 |
화 |
토 |
금 |
수 |
방위 |
동 |
남 |
중앙 |
서 |
북 |
색 |
청 |
적 |
황 |
백 |
흑 |
[식재의 의미]
사절우 |
매, 송, 국, 죽 |
사군자 |
매, 난, 국, 죽 |
세한삼우 |
송, 죽, 매 |
매화, 난초, 연 |
군자의 꽃으로 불린다. |
대나무, 오동나무 |
태평성대. ex) 대봉대 |
죽림 |
은둔사상 |
목근화 |
우리나라, 지봉유설 |
[화목]
- 괴(느티,회화) : 궁중식재
- 이(배나무) : 왕궁, 사찰
- 모란 : 부귀상징
- 도리(복숭아,오얏) : 삼국시대 궁궐
- 연 : 주돈이의 애련설, 군자의꽃
- 상(뽕나무) : 비단을 위해 궁에서도 식재
- 국화 : 은자
- 회 (향나무) : 제사관련 지역
[입수방법]
- 현폭 : 물이 요란한 소리내며 들어감 (안압지)
- 자일 : 조용히 흘러들어감 (미륵사연못, 향원지)
- 잠류 : 지하로 스며들어감 (경회루 방지)
[연못]
- 신라 때부터 민가에서는 다듬은 돌 사용 금지
- 궁궐은 장대석사용
[방지방도]
- 강릉활래정, 부용동 세연정, 경남 국담원, 경복궁 경회루
- 광한루 원지, 안압지, 경회루원지의 공통점 : 연못에 3개의 섬이 자리하고 있다
- 선교장 활래정은 주자의 관서유감의 글자를 따왔다.
[기구]
- 석지 : 돌로된 물담는 용기
- 석조 : 물을 받거나 흙이나 모래를 가라 앉히는 기능
- 유배거 : 놀이시설
- 석탑 : 돌의자
*석탑의 한자가 탑이 아니고 의자임.
1) 고구려
[안학궁지]
- 북문과 북쪽 내전 사이에 조산을 하고 정자 설치
- 북쪽의 성벽을 따라 물이 들어와 남쪽으로 흘러서 나가는 수구문과 성곽의 동서에 해자를 설치했다
2) 백제
- 우리나라 사적에 처음으로 정원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 : 삼국사기, 동사강목, 대동사강
[사원]
- 부여 정림사지
1) 1탑 1금당식 가람배치
2) 남문 앞 중아통로 좌우에 2개의 방연지
3) 평지위치! 완경중심의 평지
- 익산 미륵사지
1) 3탑 3금당식 가람배치
2) 북,동,서쪽에 수로, 남쪽에는 큰 연지 조성
- 대통사지 : 원형의 큰 석조 2개가 남아있음(금당 앞에 설치한 석연지)
- 법륭사 : 백제 장인들에 의해 일본에 세워진 동양 최고의 목조 건축물
[임류각]
- 우리나라 정원중 문헌상 최초의 정원
- 계곡의 물을 이용하여 연못을 만들고 진기한 새를 기름
[궁남지]
[석연지]
- 어항과 같은 생김새로 만들어 물을 담아 연꽃을 심어 즐기던것
3) 통일신라
[임해전과 안압지]
- 궁안에 못을 파고 석가산을 만들어 화초를 심고 진기한 새와 짐승 사육 (동사강목)
- 연못은 호안석을 쌓아서 만들었다.
- 남안과 서안이 동안과 북안보다 약 2.5m가량 높다.
- 남안과 서안은 직선적인 호안석축
- 임해정이 있는 연못의 북동 구석에 축조된 호안석축 부분의 돌계단은 선착장으로 보이며, 뱃놀이를 한 흔적도 발견
- 강회로 다지고 바다 조약돌을 깔았음. 흙의 패임 방지 반석 설치
- 수위 조절 구조
- 정자형나무틀을 물속에 넣어 연꽃을 심음
[포석정]
- 왕희지의 난정기에 나와잇는 유상곡수연에서 유래된것으로 추측
[상림원]
- 최치원 함양태수 시절 홍수를 막기위해 조성한 인공림
[사절유택]
봄 |
동야택 |
여름 |
곡양택 |
가을 |
구지택 |
겨울 |
가이택 |
4) 고려
[만월대]
- 예종8년 화원 설치
[화초수입]
- 강희안의 양화소록에는 고려의 충숙왕이 원나라에서 돌아올때 진기한 화초를 많이 가져왔다고 기록되어 있다.
[이궁]
- 장원정(풍수지리적 명당)
- 수덕궁(민가 50채)
- 중미정(경치가 좋은곳)
- 만춘정(기와굽는곳)
- 연복정(절벽/ 울창한 수림대)
- 사륜정기 : 사륜정에 관한 기록, 필요에 따라 정자를 옮길 수 있게 구상한 내용, 이규보의 이소원
[별서정원]
- 농산정(경남합천)
- 기흥수 곡수지
- 북평 해암정(강원 동해)
- 경렴정 별서정원 (탁광무, 전라도 광주)
- 화오 : 고려시대는 화단이라는 용어 대신에 화오라는 정원용어 사용
- 격구 : 의종4년 수창궁 북원에 격구장을 만듬
5) 조선시대
- 한국적 특수 정원양식인 후정 발생
- 주례고공기 : 전조후시 좌묘우사. 궁이 남쪽을 향해있으니 좌우를 반대로 생각하면된다.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북악산을 주산으로 하기때문에 후시가 형성되지 않고 시장은 청계천과 종로에 시전과 육의전을 형성했다.
- 동산바치 : 정원사를 뜻하는 말
- 고려시대(내원서) > 조선시대(상림원) > 조선시대(장원서)
[교태전 후원]
- 아미산
- 꽃담 설치
- 십장생(불로장생의 노장사상)
- 화마를 제압하는 해치와 불가사리를 벽사장식으로 사용(주역과 음양오행사상)
[향원정과 향원지]
- 주돈이의 애련설 에서 유래
[자경전]
-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가진 글자와 귀갑무늬/모란/매화/국화/대나무/나비 형태를 흙으로 구워 새겨 넣은 꽃담 설치
[녹산]
- 북쪽 후원에 위치한 사슴이 노닐던 정원
[십장생]
- 해/산/물/돌/구름/소나무/불로초/거북/학.사슴
*아미산굴뚝에는 그외에 용, 호랑이, 박쥐,봉황, 나비,해치.블가사리 등이 있다.
-----------
[창덕궁]
- 애련정역 : 화계 최상단에 돌로 만든 난간을 두르고 사방 1칸인 농수정(화계위 유일 정자) 축조
- 관람정역 : 부채꼴 평면의 관람정 설치
* 같은 부채꼴 중국 정자 : 졸정원의 여수동좌헌, 사자림의 사자정
- 옥류천역 : 청의정축조
- 청심정역 : 빙옥지를 만들고 거북모양의 석물배치
[창덕궁 후원지당]
부용지 |
방형, 방지원도 |
부용정 (정방형) |
애련지 |
방형, 방지무도 |
애련정 (정방형) |
연경당 앞 연지 |
방형, 방지무도 |
|
존덕지(반월지) |
반원형 |
존덕정 (육각형) |
관람지(반도지) |
곡지 |
관람정 (부채꼴) |
몽답지 |
방형 , 방지무도 |
몽답정 (장방형) |
빙옥지 |
방형 |
청심정 (정방형) |
청의정지 | 방지무도 | 청우정 (유일초가, 정방형) |
[창덕궁 내 천정]
- 마니, 파려, 유리, 옥정 (오답으로 자주 등장하는 몽천은 도산서원내에 있다.)
[덕수궁]
- 우리나라 최초의 양식 석조전과 함께 정형식 정원 축조 (영국인 하딩)
- 마당 중앙에 분수가 있다.
-------------
[민간정원]
- 도연명의 영향 : 동쪽 울타리 아래 국화, 후원에 무릉도원 조성, 문전에 오류를 심었다.
맹사성의 행단 |
충남아산 |
초기의 민가 , 단위에 은행나무 2그루 |
윤고산고택 |
전남해남 |
녹우당 |
권벌의 청암정 |
경북봉화 |
거북모양 암반위에 정자조성 |
윤증 고택 |
충남논산 |
방지원도를 두고 배롱나무 식재 |
선교장 |
강원 강릉 |
|
유이주의 운조루 |
전남구례 |
99칸의 주택, 조감도식으로 그린 오미동가도에 기록, 도연명 귀거래사에서 유래 |
김동수 가옥 |
전북 정읍 |
|
박황 가옥 | 경북 달성 | |
김기응 가옥 | 충북괴산 |
[별서정원]
- 별장
- 별서 : 은일, 은둔형 주거
- 별업 : 효를 위해서
양산보의 소쇄원 |
전남 담양 |
제월당, 광풍각, 애양단, 대봉대, 매대, 오곡문 |
권문해의 초간정 |
경북 예천 |
|
오이정의 명옥헌 |
전남 담양 |
|
정영방의 서석지원 |
경북 영양 |
산에서 끌어들이는 입수구를 읍청거, 출수구를 토예거 |
윤선도의 부용동정원 |
전남 완도 |
귀암 |
송시열의 남간정사 |
대전 동구 |
|
주재성의 무기연당 국담원 |
경남 함안 |
|
윤서유의 농산별업 |
전남 강진 |
|
김흥근의 석파정 | 서울 종로구 부암동 | ㅁ자형 안채와 ㄱ자형 사랑채 ㅡ 자형 별채 |
정양용의 다산초당 | 전남 강진 | 다산사경(정석,다조,약천,연지) |
김조순의 옥호정원 | 서울삼청동 | 직선적 공간처리와 직선적 화계 , 옥호정도의 그림으로만 존재 |
민주현의 임대정 | 전남 화순 |
[서원조경]
- 정료대 : 밤에 불을 밝히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
- 관세대 : 손씻는 대야를 올려놓은 석조물
- 생단 : 제사에 쓰일 생을 품평하기 위한곳
소수서원 |
경북 영풍 |
취한대 |
옥산서원 |
경북 경주 |
사산오대, 영귀대 |
도산서원 |
경북 안동 |
퇴계이황, 연을 식재한 정우당과 몽천을 만들어 주돈이의 애련설을 따름, 절우사축조(매송국죽), 천광운영대 |
병산서원 |
경북 안동 |
|
무성서원 | 전북 정읍 | 유성대 |
[누원]
- 허
- 원경
- 취경,다경
- 읍경
- 환경
[정자 방위치]
- 중심형 : 광풍각, 명옥헌, 임대정, 세연정
[사찰정원]
- 삼보사찰 : 승보(송광사), 법보(해인사), 불보(통도사)
- 측면진입방식 : 화엄사(보제루), 범어사(보제루), 선암사
[조경문헌]
강희안 양화소록 |
화목구품, 괴석 배치법 등등 |
이수관의 지봉유설 |
|
신속의 농가집성 |
|
박세당의 색경 |
|
홍만선의 산림경제 |
동(청룡,복숭아,버드), 서(백호,치자,느릅), 남(주작,매화,대추), 북(현무,살구,벚) |
이중환 택리지 |
먼저 수구를 보고 들의 형세를 본다 수구가 꼭 닫힌 듯하고, 그안에 들이 펼쳐진곳을 눈여겨 보아서 구할것 |
유박의 화암수록 |
화목구등품제 |
서명응의 고산신서 |
|
서유구의 임원경제지 |
농업 위주의 백과전서 |
신경준의 순원화훼잡설 |
|
6) 현대조경
- 탑골공원 : 영국인 브라운의 설계로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, 파고다공원
- 덕수궁 석조전
- 국립공원 22 : 지리산,경주,계룡산, 한려해상, 속리산, 한라산, 설악산, 내장산, 가야산, 오대산, 덕유산, 주왕산, 태안해안, 다도해해상, 북한산,치악산, 월악산, 소백산, 월출산, 변산반도, 무등산, 태백산
'조경기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조경계획 (0) | 2017.08.31 |
---|---|
2. 시공구조학 (0) | 2017.08.29 |
1. 시공구조학 (0) | 2017.08.28 |
동양조경사 조경서적표, 누각과 정자의 차이 (0) | 2017.08.28 |
2.동양조경사 (2) 일본 (0) | 2017.08.24 |
2. 동양조경사 (1) 중국 (0) | 2017.08.22 |
1.서양조경사 (4) 근대와 현대조경 (0) | 2017.08.09 |
1.서양조경사 (3) 르네상스 (0) | 2017.08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