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 중국정원의 부지 ]

- 전정, 중정, 후정의 3가지로 나눈다.


[ 영벽 ]

- 대문의 바깥 또는 안에 설치되는 장벽을 말한다. 


[태호석]

- 추(주름), 투(투과), 누(구멍), 수(여림)

 

 욕현이선은 수법

우선 가리어 함축적, 심장한 효과 

욕현이은 욕로이장수법 

나타내려하여 숨기고, 노출하려 하여 감춘다, 영벽이나 태호석 

욕양선억 수법 

억경, 펼치기를 원하면 먼저 억누른다. 좁은공간을 더욱 크게 보이려 할때 사용하는 수법 


[후한 시대의 설문해자 기록]

- 원(과수원), 포(채소), 유(동물원)


1) 진시대

- 난지궁과 난지

- 아방궁


2) 한시대

[상림원]

-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대호수가 있다.

- 곤명호에는 견우직녀석상, 호수속 돌고래, 예장대 등이 있다.


[태액지]

- 연못 속에 영주, 봉래, 방장의 세섬 축조


[사]

- 물가에 도입되어 수경관을 감상하며 구조가 경쾌하고 입면이 개방적인 조영물.


3) 진시대

[왕희지의 난정기] 

- 곡수연을 위해 곡수거를 조성


[도연명의 안빈낙도 철학]

- 귀원전거, 도화원기, 귀거래사,오류선생전


4) 남북조 시대

- 북위의 양현지가 지은 낙양가람기


5) 수시대


6) 당시대

- 중국정원의 기본적인 양식 확립

- 자연 그 자체보다 인위적인 정원을 중시하기 시작했다.


[장안의 3원]

- 서내원, 동내원, 대흥원


[원자]

- 건물사이에 자리 잡은 공간으로 화훼류를 가꾸기도 하였다


[민간정원]

- 왕유 망천별업

- 백거이 백낙천

- 이덕유의 평천산장 ( 괴석 쌓아 무산12봉, 평천산거계자손기)


7) 북송

[만세산]

- 세자를 얻기위해 올린 가산

- 봉황산을 닮게 만들었다.

- 자연풍경을 묘사한 축경식 정원


[북송의 사원]

- 경림원, 금명지, 의춘원, 옥진원


[민간정원]

- 이격비의 낙양명원기

- 구양수의 화방재기

- 구양수의 취옹정기

- 사마광의 독락원기

- 주돈이의 애련설 (국화는 은자, 목단은 부귀자, 연꽃은 군자로 비유)

- 소순흠의 창랑정 (108종에 달하는 창문양식, 가산과 동굴이 배치되어 있다)


8) 남송

[민간정원]

- 주밀의 오흥원림기


9) 원시대

[사자림]

- 예운림과 주덕윤 설계, 1/2이 태호석, 부채꼴모양의 사자정


[소주의 4대명원] 

- 창랑정(송), 사자림(원), 졸정원(명), 유원(명)


10) 명시대

[졸정원]

- 해당춘오

- 여수동좌헌 

- 반이상이 수경이고 3개의 섬과 이를 연결하는 곡교 설치


[유원]

-허와실 명과 암


[계성의 원야]

- 1권 : 원림조성의 70% 정도가 설계자의 역할임을 설명,2권 난간, 3권 : 차경기법에 대한 설명 

- 일차 : 원경을이용

- 인차 : 인접부분 경관을 빌어씀

- 앙차 : 높은 산악의 경치를 빌어씀

- 부차 : 낮은 곳의 풍경을 부감함

- 응시이차 : 계절에 따른 경관을 빌어씀


- 문진향의 장물지

- 왕세정의 유금릉제원기


11) 청시대

- 중국의 조경사상 가장 융성하게 발달한 시기


[경륭시대의 삼산오원]

- 만수산청의원 (이화원)

- 옥천산 정명원

- 향산 정의원, 원명원, 장춘원


[이화원]

- 원의 중심인 만수산과 원의 3/4인 곤명호로 구성


[원명원]

- 풍경마다 독특한 주제를 갖춘 40경은 서호 18경 포함

- 앞뜰에 대분천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식 정원조성으로 서양식 정원의 시초

- 만방안화, 수목명슬, 해기취/해안당(서양 건축물), 분수(프랑스 선교사 베누아 설계)

- 프랑스 선교사 장 드니 아띠레(왕치성)의 편지


[피서산장]

- 황제의 여름별장

- 강희제가 명승 36경을 골라 그림으로 , 건륭제는 새로이 36경을 추가하여 피서산장도영작성

- 궁전구, 호수구, 평원구, 산구의 네구역으로 구분


+ Recent posts